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로 당분간 글로벌 금융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서울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여하는 거시위너 토토·금융현안간담회(F4회의)를 열고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행정부는 2일(현지시간) 관세율 10%를 기본으로 한국 25%, 일본 24%, EU(유럽연합) 20%, 중국 34%, 대만 32% 등 국가별 상호과세 부과 조치를 발표했다. 최 부총리는 “글로벌 금융시장은 발표 직후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미국 국채 금리 및 증시 선물 지수가 하락하는 등 전반적인 위험회피 심리가 높아진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정부는 F4회의를 중심으로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상황별 대응 계획을 철저히 준비해왔다"며 "시장 상황이 충분히 안정될 때까지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 체계를 지속 가동하고, 외환·국채·자금시장 등 분야별 점검 체계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높은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로 다가온 이상 본격적인 대응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F4회의도 여기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자동차 등 피해 예상 업종별 지원과 조선 선수금환급보증(RG) 공급 확대 등 상호관세 대응을 위한 세부 지원방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최 부총리는 “정부가 제안한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에도 무역금융, 수출바우처 추가 공급, 핵심품목 공급망 안정 등 통상 리스크 대응 사업을 적극 반영하겠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전례없는 통상 파고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국회에서 신속히 논의해주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spring@fnnew
[美관세폭풍] 비상 걸린 한국 수출…대미 후속협상에 명운 달렸다" "美상호관세는 FTA 파기 선언…韓수출 10~15%↓·성장 0.5%p↓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