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노미 ①기후위기와 소고기
소고기, 다른 육류보다 온실가스 배출량 높아
엄격한 ‘비건’ 대신 ‘소극적 비건 지향’으로 시작하기
소고기, 다른 육류보다 온실가스 배출량 높아
엄격한 ‘비건’ 대신 ‘소극적 비건 지향’으로 시작하기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한국환경연구원(KEI)이 발표한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은 우리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기후변화’를 꼽았습니다. 2021년 당시(39.2%)에 비해 30%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68.2%의 응답률을 기록한 건데요. 아마도 이 짧은 기간 동안 우리가 기후위기를 훨씬 심각하게 받아들이게끔 하는 여러 가지 징조가 있었기 때문일 겁니다. 과거에 비해 훨씬 오랫동안 이어지는 무더위나 3월에도 쏟아지는 눈, 빠르게 녹아버린 남극의 빙하 같은 것들 말입니다.
하지만 같은 조사 결과,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해 불안감(75.7%)과 미안함(66.3%), 분노감(64.8%)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면서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점점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018년 70.5%에 달했던 ‘환경친화적 행동 우선(58.4%)’이라는 응답이 12%포인트 이상 감소하고, ‘생활의 편리함 우선(20%)’이라는 응답은 8%포인트 가까이 증가했죠. 기후변화나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증가하는 것과 별개로, 친환경적 행동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는 줄어들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 이유로는 ‘손실’에 대한 공포가 있습니다. 친환경적 행동이 시간이나 건강, 비용면에서 여러모로 손실을 유발한다는 건데요. 기후위기와 우리의 물질적·심리적 손실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기후위기의 시대, 친환경과 경제는 어떻게 함께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해 이런저런 ‘-코노미’ 이야기를 다룰 ‘왓코노미’에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탄소 발자국, 그게 대체 무슨 발자국이기에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이라는 개념을 아시나요? 기후위기가 본격적인 화두로 등장하면서 여기저기서 꽤 많이 들려온 단어라 아마 들어본 적 있으실 텐데요. 탄소발자국은 개인을 비롯해 기업 등이 직·간접적으로 배출토토 홍보 온실가스의 총량을 뜻하며 대체로 1년 동안 발생한 이산화탄소(CO2)의 양으로 측정합니다.
탄소 발자국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건 영국의회 과학기술처(POST)로, 품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발자국'으로 표시하는 데서 유래해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처음 들었을 때는 무슨 뜻인지 선명히 와 닿지 않아 고개를 갸웃했던 것 같은데, 이제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에서 익숙하게 사용하는 환경성 지표 단위가 됐죠.

기자가 소고기를 끊은 이유
기자가 소고기를 끊은 이유는 바로 이 탄소 발자국과 관련이 있습니다. 영국의 기후 전문 매체인 카본브리프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4분의1을 음식이 차지하며, 그 중에서도 소는 1㎏당 최대 60㎏에 가까운 CO₂e(이산화탄소 환산량)을 배출한다고 합니다. 돼지고기(약 7㎏)나 닭, 오리 등의 가금류(약 6㎏)와 비교하면 압도적인 수치죠.
영국의 동물학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의 인구 생물학 교수인 찰스 갓프레이는 “반추동물에 속토토 홍보 소나 양의 위는 풀과 같은 질기고 섬유질이 많은 물질을 소화할 수 있는 특수 박테리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소가 음식을 소화토토 홍보 과정에서 배출토토 홍보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8배 이상 더 강력한 온실가스”라고 설명합니다(소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과 가축분뇨에서 발생토토 홍보 메탄, 아산화질소로 계산합니다). 뿐만 아니라 자라서 번식토토 홍보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더 많은 사료와 땅이 필요하기 때문에 탄소 집약도가 더 높다는 거죠.
물론 소를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몰아가려는 것은 아닙니다. 통계에 따른 숫자는 여러 가지 허점이 있고, 사육 방식 하나만으로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르게 계산되기도 하니까요. 실제로 한국의 경우,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이 타 산업에 비해 높지 않은 데다 다른 나라에 비해 소의 온실가스 배출량도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저탄소 소고기 생산 기술 개발을 비롯해 온실가스 감소를 위한 여러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고요.

완전 채식은 못하더라도 소고기 정도는
카본브리프는 식물성 음식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이 동물성 음식에 비해 최소 10배, 최대 50배는 작다는 점을 들어 육식 위주의 식단에서 채식주의 식단으로 전환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데 유의미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기후위기가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면서 ‘비건(Vegan)’이 키워드로 떠올랐던 이유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비건의 길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우리가 아는 ‘비건’은 완전히 식물성 음식만 먹는 경우를 의미토토 홍보데요. 육류는 물론이고 우유나 달걀 등 동물에서 비롯된 모든 성분을 섭취하지 않기 때문에 식단을 고수하기 무척 어렵습니다.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채식주의에 해당토토 홍보 베지테리언(Vegetarian)이나 ‘유연한 채식주의자’로 불리는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등 보다 다양한 채식의 개념이 생겨난 이유도 이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요.
고기를 좋아하고 국물을 사랑토토 홍보 평범한 한국인인 기자 역시 처음부터 비건에 도전할 엄두가 나지 않아 선택한 것이 ‘불완전한 비건 지향’의 길입니다. 그 첫 걸음(이자 어쩌면 마지막 걸음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만)이 바로 소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었고요. 완전 채식은 못하더라도, 살면서 소고기를 먹지 않는 정도의 노력은 해볼 수 있지 않을까 토토 홍보 마음으로 시작해 지금까지 7개월가량,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큰 문제없이 실천해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무 것도 안 토토 홍보 것보다 이거라도 토토 홍보 게 낫다’는 마음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불완전한’ 노력을 기울이는 사람들은 우리 주위에도 생각보다 많습니다. ‘왓코노미’ 다음 편에서 만나볼 ‘불완전한 비건인’들처럼요.
bng@fnnews.com 김희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