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5% 급락 마감
시장안정화 조치 즉각 대응을
시장안정화 조치 즉각 대응을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오늘 의 토토 발표로 인해 시장 리스크가 해소됐다고 보는 관점이 있다. 나아가 일시적 충격에 따른 급락 이후 기술적 반등으로 시장이 안정을 되찾을 것이란 해석도 내놓는다.
그러나 글로벌 증시 폭락은 일시적 하락으로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니다. 증시 폭락의 원인인 관세정책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강경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발표에 따른 증시 급락을 우려하는 목소리에 대해 "언젠가 사람들은 미국을 위한 관세가 매우 아름다운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라며 후퇴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미국이 발동을 건 관세전쟁이 오히려 자국 내 경제 펀더멘털을 약화시키는 부메랑으로 작용하는 것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관세정책이 오히려 미국 기업의 실적을 악화시키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통화정책 변화에 유보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고율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우려해서다. 미국 경기는 후퇴하는데 관세는 밀어붙이는 형국이다.
물론 과도한 신중론은 불안심리를 자극해 시장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글로벌 금융시장의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는 관측을 흘려들어선 안 된다. 실제로 지난주 금융시장 분위기가 지난 2008년 국제금융위기 당시와 유사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주요 증시들의 급락 수준이 2008년 리먼브러더스 붕괴 당시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우리는 이러한 글로벌 악조건 속에서도 기회를 찾아야 한다. 우선 관세전쟁발 대규모 쓰나미가 우리나라 금융시장에도 거세게 밀려들 가능성을 배제해선 안 된다. 지난주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5조8519억원 규모 매도 우위로 2주 연속 매도 우위를 보였다고 한다. 통상 리스크가 높아질수록 환율도 널뛰기를 할 전망이다. 안전자산인 달러화와 엔화에 대한 선호심리가 높아지면서 원화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우리 시장에 미칠 파장에 대비해 24시간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하면 시장 안정화 조치를 즉각 시행해야 한다.
글로벌 불확실성이 장기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시장 체력을 키우는 방안도 병행해야 한다. 일단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선고로 정치 불확실성은 해소됐다. 국내 증시에 호재인 셈이다. 이런 분위기를 살려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정책들을 총동원할 때다. 소비심리를 회복시킬 수 있는 추경안 통과에 속도를 내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업 밸류업 입법에도 힘을 쏟아 내실을 기해야 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